수십 년간 쌓인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는 세계 최고봉 에베레스트(해발 8848.86m)에 대형 드론이 투입돼 수거 작업을 하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3일 보도했다.에베레스트 쓰레기 수거를 담당하는 비영리 단체 사가르마타 오염통제위원회(SPCC)는 지난 4월부터 네팔 드론 기술 스타트업 '에어리프트 테크놀로지(에어리프트)'가 중국 드론 제조업체 선전 다장이노베이션(DJI)의 대형 드론 2대를 활용해 에베레스트에 있는 쓰레기를 처리 중이라고 전했다. 에베레스트 먼저 드론은 해발 5364m 에베레스트 남사면 베이스캠프에서 사다리와 로프 같은 장비를 실어 해발 6065m에 있는 캠프1까지 수송한다. 그다음 셰르파들이 쓰레기가 담긴 자루를 드론에 연결하면 6분 만에 이를 베이스캠프로 옮길 수 있다. 대당 가격이 7만달러(약 9500만원)에 달하는 드론은 영하 20도, 시속 40㎞ 이상의 강풍에서도 비행이 가능한 성능을 지녔다. SPCC는 이 2대의 드론으로 한 달 만에 280㎏ 이상의 쓰레기를 수거했다고 전했다. 15차례 에베레스트 정상에 오른 셰르파 락파 누루(33)는 블룸버그 통신에 "우리 팀이 평소에 치우는 쓰레기의 약 70%를 올해는 드론이 대신 처리했다"며 "매우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더 무거운 짐을 나를 수 있는 드론이 더 많아졌으면 한다"고 덧붙였다.에어리프트는 네팔 당국과 협력해 에베레스트와 다른 8000m급 봉우리에 더 많은 드론 기종을 시험 도입할 계획이라며 "미국과 유럽의 여러 드론 제조업체가 시험용 장비를 제공하겠다고 연락해 왔다"고 전했다.에베레스트는 해마다 4월 말부터 5월 말까지 등반 시즌에만 수만 명이 베이스캠프를 찾는다. 이 때문에 쓰레기 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있으며, 고지대로 갈수록 청소가 더 어려운 상황이다. 더구나 기후변화로 눈과 얼음이 녹으면서 오래된 쓰레기들이 드러나 하류 빙하수와 마을 식수원을 오염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2019년 이후 네팔군과 셰르파들은 에베레스트와 주변 봉우리에서 100t 이상의 쓰레기를 치워왔다. 네팔 정부는 베이스캠프 이상으로 올라가는 등반자들에게 최소 8㎏의 쓰레기를 반드시 수거해 오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를 지키지 않으면 보증금 4000달러를 몰수하는 제도도 시행 중이다. 또 지난해부터는 콜레라 등 질병 확산을 막기 위해 등반객들이 배설 서울 전역에 폭염주의보가 발효된 지난달 30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광장 터널 분수에서 어린이들이 물놀이를 즐기고 있다. 연합뉴스 지난달 전국 평균기온이 22.9도로 역대 가장 더운 6월로 기록됐다. 한여름같이 푹푹 쪘던 초여름의 무더위가 수치로 확인된 것이다.기상청은 4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5년 6월 기후특성’ 자료를 발표했다. 지난달 전국 평균기온은 평년(1991~2020년)보다 1.5도 높았고, 기존에 역대 가장 더웠던 지난해(22.7도)보다 0.2도 높아 역대 6월 평균기온 1위 기록을 세웠다. 또 지난달 전국 폭염 일수와 열대야 일수는 각각 2일과 0.8일로 역대 2위를 기록했다. 역대 6월 폭염 일수 1위는 2024년(2.8일)이고, 열대야 일수 1위는 2022년(1.2일)이다. 지난달 18일 강릉에서 올해 첫 열대야가 나타났고, 19일 대전, 대구, 광주 등 12곳에서 역대 가장 이른 열대야가 기록됐다. 특히 서울에서는 2022년 이후 4년 연속 6월 열대야가 발생하는 새 기록을 세웠다. 또 지난달 27일 남부지방부터 첫 폭염특보가 발효돼 29일 전국 대부분 지역으로 확대됐다. 29~30일에는 경북 경주 37.5도, 충북 청주 34도, 전북 정읍 33.9도(이상 29일), 경북 울진 36.8도, 전남 완도 34.2도, 제주 서귀포 31.8도(이상 30일) 등 남부지방과 제주도 곳곳에서 일평균기온 1위 기록을 갈아치웠다.이러한 ‘한여름 같은 초여름 날씨’의 원인에 대해 기상청은 “우리나라 남동쪽에 고기압이 발달하면서 남서풍이 주로 불어 기온이 평년보다 높은 날이 많았다”며 “특히 27~30일에는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덥고 습한 공기가 유입되고 낮 동안의 햇볕이 더해”졌기 때문이라고 밝혔다.지난달 전국 강수량은 187.4㎜로 평년(148.2㎜)에 견줘 126.6% 수준으로 많았다. 강수일수는 10.5일로 평년(9.9일)보다 조금 많았다. 다만, 강원 영동 지역은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었고, 4월 하순부터 평년에 견줘 비가 적게 오고 대기가 건조해지는 ‘기상가뭄’이 지속하고 있다. 지난달 상순에는 비가 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