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뉴스24 박채오 기자] 최근
[아이뉴스24 박채오 기자] 최근 빈번한 건설현장 인명사고와 중대재해법 적용 논쟁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방정부의 건설행정과 관련된 의미있는 조사결과가 발표됐다.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는 지난달 30일부터 이달 1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건설행정신뢰도 여론조사(표본오차 95%, 신뢰수준 ±3.1%P)를 3일 발표했다.조사결과에 따르면 현재 거주하고 있는 기초자치단체의 행정 전반에 대해 '신뢰한다'는 응답이 48.4%(매우 신뢰한다 9.9% 대체로 신뢰한다 38.5%), '신뢰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41.5%(매우 불신한다 12.5% 대체로 불신한다 29.0%)로 나타났다. 건설 관련 행정 신뢰도 응답률. [사진=한국사회여론연구소] 반면 건설 관련 행정에 대해서는 '신뢰한다'는 응답이 32.0%(매우 신뢰한다 4.8%, 대체로 신뢰한다 27.2%)에 그친 반면, '불신한다'는 응답은 53.4%(매우 불신한다 18.6%, 대체로 불신한다 34.8%)로 절반을 넘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특히 40대의 경우 67.9%가 압도적으로 '신뢰하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이는 건설행정 분야가 생명과 안전에 직결된 분야인 만큼 최근 일련의 건설 현장 사고로 인해 불신이 더욱 커진 것으로 볼 수 있다.건설현장의 '안전관리'에 대해서는 안전하다는 응답이 45.4%(매우 안전하다, 6.3%, 대체로 안전하다 39.1%)로 안전하지 않다는 응답 42.9%(매우 안전하지 않다 9.7%, 대체로 안전하지 않다 33.2%)에 비해 조금 낮게 나타났다.반면 건설공사 진행과정의 '투명성'에 대해서는 투명하지 않다는 응답이 60.9%(매우 투명하지 않다 18.2%, 대체로 투명하지 않다 42.7%)로 투명하다는 응답 23.2%(매우 투명하다 5.2%, 대체로 투명하다 18.0%)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다.사고 발생 시 책임소재에 대해서는 절반이 넘는 51.3%가 '해당 공사를 실제로 진행하는 건설사'의 책임이라고 응답했다.이어 '전체 관리책임이 있는 시장·구청장·군수가 출처=환경재단 물이 가장 깨끗하기로 유명한 울릉도가 해양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다. 특히 장마철에는 중국·일본 등 인근 국가에서 넘어오는 쓰레기까지 몰려오면서 울릉도 해역은 쓰레기장으로 변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3일 환경단체 환경재단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경북 울릉군 현포항 일대에서 다이빙 단체 Team_STA과 진행한 이번 활동에서는 총 158L의 해양쓰레기가 수거됐다. 낚시줄, 폐로프, 스티로폼 부표 등 어업 쓰레기가 가장 많았고, 생활 쓰레기 유래 플라스틱 용기, 비닐류도 다수 발견됐다.국적이 확인된 쓰레기 중 중국산 비중이 85.1%로 가장 높았으며, 러시아, 북한, 일본 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외국 쓰레기의 98%가 플라스틱으로, 해양 오염의 주범으로 지목된다. 플라스틱은 시간이 지날수록 잘게 분해돼 미세플라스틱으로 변하고, 해양 생태계에 축적돼 결국 사람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이번 활동은 '2025바다쓰담 캠페인'의 일환으로 수중 드론을 활용한 해양 정화 활동을 벌였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작업은 장마철 집중적으로 유입되는 해양쓰레기 실태를 점검하고, 도서 지역에 적합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해양수산부에 따르면 국내 해양쓰레기 발생량은 연간 약 14만5000톤에 달하며, 상당량이 태풍과 장마철을 통해 연안으로 유입된다. 울릉도는 이 가운데 외국 해양쓰레기 비중이 특히 높은 지역으로, 해류와 계절풍의 영향으로 상시 쓰레기가 몰려드는 구조다.울릉도는 '물이 가장 깨끗한 섬'이라는 명성과 달리 해양쓰레기 때문에 관광·어족자원까지 위협받을 수 있다는우려가나온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국가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결과에서도 울릉도 연안은 동해안 중 외국 쓰레기 비율이 8.6%로 가장 높았다.환경재단 관계자는 "울릉도는 쓰레기 유입과 처리가 동시에 이뤄지는 대표적인 도서 해역 사례"라며 "공공과 지역사회가 함께 대응 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성기철 Team_STA 대표는 "울릉도는 쿠로시오해류와
[아이뉴스24 박채오 기자] 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