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데일리 김형환 기자]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 이후 첫 주말인 6일, 매주 집회가 벌어졌던 서울 도심 곳곳은 성난 구호 소리 대신 즐거운 웃음 소리로 가득했다. 각종 시위로 제대로 된 영업을 하지 못하던 자영업자들은 다시 찾아온 손님들을 맞았고 외국인 관광객들과 시민들은 봄 나들이를 만끽했다. 다만 윤 전 대통령이 돌아갈 것으로 보이는 서초동에는 경호원이 배치되는 등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6일 오전 서울 광화문 앞에서 조선 군례의식인 파수의식이 재연되고 있는 가운데 외국인 관광객들과 시민들이 이를 관람하고 있다. (사진=김형환 기자) 일상 회복한 헌재 앞·한남동…관광객·시민 ‘북적’이날 오전 찾은 헌법재판소 인근. 외국인 관광객들과 시민들이 따스한 날씨를 맘껏 즐기며 이곳저곳을 구경하고 있었다. 헌법재판소 정문과 그 인근은 폴리스라인으로 접근이 통제됐지만 나머지 지역은 이동이 가능하도록 통행로가 확보돼 있었다. 외국인 관광객들은 촘촘하게 세워진 차벽이 신기한 듯 연신 카메라 셔터를 눌렀다. 차벽을 배경 삼아 사진을 찍는 이들도 있었다.지난 금요일 선고에 따른 충돌이 지속될 수 있다는 우려에 일부 가게는 문을 닫은 곳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가게들은 정상 영업을 했다.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유명한 맛집으로 알려진 식당들 앞에는 순서를 기다리는 손님들이 줄을 길게 늘어 서 있었다. 자영업자들의 얼굴에선 오랜만에 잘 되는 장사에 웃음이 떠나지 않았다. 인근에서 한식당을 운영하는 50대 박모씨는 “그간 매출이 반의반 토막이 났었다”면서도 “그래도 이젠 제대로 된 장사를 할 수 있다는 생각에 근심이 싹 사라졌다”고 말했다.아직 윤 전 대통령이 머물고 있는 한남동 관저 인근은 적막이 흘렀다. 이 곳을 가득 메웠던 시위대는 사라졌고 곳곳에 붙어 있는 탄핵 반대 손팻말과 각종 쓰레기들만이 격렬했던 탄핵 반대 시위가 있었던 곳임을 짐작케 했다. 대통령 관저 인근에는 경찰들이 혹시 모를 돌발 사태에 대비해 경계를 서고 있었고 오랜 시간 관저 인근을 머무는 시민들에게 검문을 하기도 했다. 윤 전 대통령 지지자는 전혀 찾아볼 수 없었고 경찰과 취재진만이 관저 인근에 있었다.인근 한남동 주민들과 상권은 반색했다. 끊임없이 이어지는 손님들에 자영업자는 [서울=뉴시스] 배훈식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파면이 결정된 지난 4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구내식당에서 청사 직원들이 속보를 확인하고 있다. 2025.04.04. dahora83@newsis.com [세종=뉴시스]성소의 기자 = 윤석열 대통령 파면 결정으로 조기 대선이 치러지게 되면서 2035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NDC)를 비롯한 주요 환경 정책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6일 관계 부처에 따르면 2035 NDC는 윤석열 정부에서 수립을 시작했지만 차기 정부가 완성하게 됐다. NDC는 각국이 향후 10년간 온실가스 배출량을 얼마나, 어떤 경로로 줄일지를 담은 계획으로, 정부는 올해 9월 안에 2035 NDC를 유엔에 제출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해 3월부터 전문가 논의와 부처 협의를 거쳐 2035 NDC 수립을 진행해왔지만, 탄핵과 조기 대선이 큰 변수로 작용하게 됐다. 누가 집권하느냐에 따라 목표치와 로드맵이 크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과거 사례만 봐도 NDC의 방향성은 정부마다 크게 달랐다.문재인 정부는 기후변화 대응 의지와 국제적 책임을 강조하며 2030 NDC를 26.3%에서 40%로 상향했으나, 윤석열 정부는 이 목표치가 국내 산업계에 과도한 부담을 주는 비현실적 목표라며 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14.5%에서 11.4%로 낮췄다.이를 실현시킬 로드맵에서도 두 정부는 큰 차이를 보였다. 탈원전 기조였던 문재인 정부는 에너지믹스에서 원전 비중을 줄이고 재생에너지 비중을 높인 반면, 윤석열 정부는 원전을 발전 부문 온실가스 감축의 핵심 수단으로 삼았다. '기후환경부'의 운명도 확실치 않아졌다. 환경부는 기후 의제를 주도할 수 있도록 '기후환경부'로 역할을 확대하겠다는 구상을 밝혀왔다. 각 부처에 흩어진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 관련 정책들을 환경부가 총괄해 기후위기에 보다 체계적으로 대응하겠다는 계획이다. 정치권에서도 기후위기 문제를 전담할 컨트롤타워 부처가 필요하다는 데에는 어느 정도 공감대가 형성돼있다. 각론에는 차이가 있지만 김소희 국민의힘 의원, 박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환경부를 '기후환경부'로 확대하는 내용의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각각 발의하기도 했다. 다만 정권이 교체된다면 이 방향은 틀어질 수 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해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