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 암호 해제 제거, PDF 보안 프로그램 애크로뱃 사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Monica 작성일25-02-16 20:26 조회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윈도우 보안 프로그램 사용 중 파일을 클릭했는데 화면이 응답 없음 오류가 뜨면서 하얗게 되거나 무한 로딩 대기, 로딩 매우 느린 증상이 보안 프로그램을 삭제한 이후 일시적으로 괜찮아졌다가 시간이 지나면 다시 똑같은 증상이 생겼다.종료 무한 대기에 걸리거나, 부팅이 매우 느려지는 현상도 간혹 발생.테스트를 위해 이것저것 설정을 하면서 7월 5일부터 16일까지 증상을 보고 대처를 해보았다.'AhnLab Safe Transaction'을 제거해서 괜찮아져 그것이 문제인가 싶었는데 시간이 보안 프로그램 지나도 또 똑같은 증상.이번에는 다른 보안 프로그램이 문제인지 확인하기 위해 시간차를 두고 다른 보안 프로그램 두 개(INISAFE CrossWeb EX, TouchEnNxKey)를 삭제해서 테스트를 해봤는데, 역시 차이가 없이 느린 증상이 계속되었다.이 세 가지 보안 프로그램은 농협 인터넷 뱅킹 사이트에 접속하면 설치하라고 뜨는데, 설치 안내 팝업을 잘 확인해 보니 'AhnLab Safe Transaction'만 필수 설치 프로그램이고 나머지 두 개는 필수가 아니다.필수가 아니기 보안 프로그램 때문에 설치하지 않아도 인터넷 뱅킹을 사용할 수 있다.인터넷 뱅킹 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필수가 아닌 나머지 두 개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설치 안내 팝업창이 계속 뜰 수 있기는 한데, 그냥 우측 상단의 'X'표시를 눌러서 닫으면 인터넷 뱅킹이 가능하다.결국, 보안 프로그램이 컴퓨터를 느리게 하는 것은 아니었던 것 같다.다만, 완전히 관련이 없다고 할 수는 없는데, 보안 프로그램은 윈도 사용 보안 프로그램 중에 항상 로딩이 되어 있는데, 사용 중에 계속 로딩이 되어 있고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원인 제공을 하고 있을 수는 있겠다.그러면, 마지막으로 하드 디스크에 베드 섹터가 생겨서 생긴 문제일 수 있다.보통 하드 디스크에 문제가 생긴 경우 '끼릭~ 끼릭~'하는 소리가 나기 때문에 금방 알아챌 수 있는데, 이번에는 그런 소리가 나지 않는다.베드 섹터가 생긴 경우에는 소리가 나지 않을 수 있기는 보안 프로그램 한데, 지금까지 경험으로 보면 베드 섹터(I/O 오류)가 생기면 소리가 나는 경우가 많았다.올해 초부터였는지 작년 가을부터였는지 기억은 안 나는데, 컴퓨터 사용 중에 무한 로딩 대기에 걸리는 일이 생겨서 SATA 케이블 교체도 해보고 바이러스 검사도 해보고 보안 프로그램까지 확인을 해봤다.그때부터 하드 디스크에 베드 섹터가 있었을 수 있지만,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서 생긴 문제일 수도 있다. 확신할 수 없음.현재 주 보안 프로그램 작업용으로 SATA 500G 하드 디스크를 사용하고 있는데, 파일이 많아서 약 460~470G 정도를 사용해 남은 용량이 46~64기가 바이트 정도로 빠듯하다.이런 상태로 몇 달을 계속 사용하다 보니 남아 있는 좁은 영역에 계속 쓰고 지우기를 반복하게 되어 그 공간에 베드 섹터가 생길 가능성이 커진다.그 사이 영상 편집을 워낙 많이 해서, 하드 디스크에 대용량 영상 파일을 쓰고 지우고, 편집하면서 또 쓰고 지우기를 보안 프로그램 반복하여 사용량이 많아 베드 섹터가 생겼을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용량이 조금 남을수록 로딩 대기, 무한 대기 오류가 생기는 일이 더 잦아지는데, 파일을 줄여서 여유 공간을 좀 늘리면 로딩 대기에 걸리는 경우가 줄어들었다.최근에 영상 편집 작업이 늦어져서 영상 파일이 계속 쌓여 여유 공간이 40~50G 정도로 줄어드니 로딩 대기 오류가 잦아졌는데, 편집을 끝내고 파일을 지워 여유 공간이 64G 정도로 늘어나니 또 보안 프로그램 로딩 대기 현상이 별로 일어나지 않는다.일부 프로그램 중에 메모리 공간이 부족하면 하드 디스크를 메모리 영역으로 확장해서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있을 수 있고, 하드 디스크 공간을 미리 많이 확보해 두는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그런 경우에 하드 디스크 공간이 부족해서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일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하드 디스크를 교체하려고 준비를 했었는데, 일단 파일을 지워 여유 공간을 더 늘려서 사용해 보안 프로그램 보면서 확인을 할 예정.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