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지원
차별화된 온실을 건축하고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착한기업 주식회사 하임원예건축 건축사사무소입니다.
  >  고객지원  >  고객지원

풍요와 빈곤이 공존하는 시대 '기부의 윤리학'실천 윤

페이지 정보

작성자 oreo 작성일25-04-26 00:10 조회19회 댓글0건

본문

풍요와 빈곤이 공존하는 시대 '기부의 윤리학'실천 윤리학의 거장 피터 싱어 프린스턴대 생명윤리학 교수 인터뷰연못에 빠진 아이를 본다면누구나 구해야한다 생각할 것먼 나라 기아문제도 마찬가지어떻게든 도울 방법 찾아야기부로 삶의 목적의식 찾고나은 세상 만드는 성취감 느껴말기 질환자 삶의 질 낮다면안락사 허용하는 것이 합리적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남쪽 파인타운에서 한 어린이가 식량 지원을 받기 위해 문밖에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블룸버그지난 3월 말 영남권을 휩쓴 산불 피해 지역에 역대급 기부액이 쏟아졌다. 기업도 유명 연예인도 종교 단체도 앞다퉈 기부 행렬에 동참했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 미얀마를 덮친 대지진에는 온정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다. 사망자가 3700명에 달했는데도 '나의 일'처럼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선택적 기부에 "비윤리적"이라며 회초리를 든 철학자가 있다. 공리주의 계보를 잇는 실천윤리학의 세계적 거장 피터 싱어 미국 프린스턴대 생명윤리학 석좌교수(79·사진)다. 한국 고등학교 윤리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이 시대 가장 논쟁적이면서 실천적인 그를 온라인 줌으로 만났다. 2009년에 처음 출간돼 빌 게이츠와 워런 버핏이 참여한 '더 기빙 플레지' 서약을 끌어낸 '빈곤 해방'(The life you can save, 21세기북스 펴냄) 10주년 개정판이 최근 한국어판 서문을 달고 국내 출간됐다.빈곤 해방피터 싱어 지음, 함규진 옮김21세기북스 펴냄, 2만2000원-미얀마 대지진 등 해외 재난 상황을 외면하는 것은 잘못인가.▷도울 능력이 있는데 돕지 않는다면 잘못이다. 재난이 뉴스 헤드라인을 장식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기부하기보다는 장기적인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단체에 일상적으로 기부하는 것이 좋다.-아프리카 기아 문제를 내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1972년 '기근 풍요 도덕'에 대한 글을 처음 썼을 때 사람들이 세상의 빈곤에 대해 자신에게는 책임이 없다고 말하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물에 빠진 아이'라는 비유를 사용했다. 공원을 걷고 있는데 어린아이가 연못에 빠져 익사할 위험에 처해 있다고 상상해보라. 주변에 부모나 베이비시터가 있는지 둘러보지만 아무도 보이지 않는다. 비싼 신발이 망가진다 해도 아이를 구하지 않으면 잘못이라고 느낄 것이다. 그렇다면 아이가 바로 눈앞에 있지 풍요와 빈곤이 공존하는 시대 '기부의 윤리학'실천 윤리학의 거장 피터 싱어 프린스턴대 생명윤리학 교수 인터뷰연못에 빠진 아이를 본다면누구나 구해야한다 생각할 것먼 나라 기아문제도 마찬가지어떻게든 도울 방법 찾아야기부로 삶의 목적의식 찾고나은 세상 만드는 성취감 느껴말기 질환자 삶의 질 낮다면안락사 허용하는 것이 합리적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 남쪽 파인타운에서 한 어린이가 식량 지원을 받기 위해 문밖에서 순서를 기다리고 있다. 블룸버그지난 3월 말 영남권을 휩쓴 산불 피해 지역에 역대급 기부액이 쏟아졌다. 기업도 유명 연예인도 종교 단체도 앞다퉈 기부 행렬에 동참했다. 하지만 비슷한 시기 미얀마를 덮친 대지진에는 온정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다. 사망자가 3700명에 달했는데도 '나의 일'처럼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선택적 기부에 "비윤리적"이라며 회초리를 든 철학자가 있다. 공리주의 계보를 잇는 실천윤리학의 세계적 거장 피터 싱어 미국 프린스턴대 생명윤리학 석좌교수(79·사진)다. 한국 고등학교 윤리 교과서에도 등장하는 이 시대 가장 논쟁적이면서 실천적인 그를 온라인 줌으로 만났다. 2009년에 처음 출간돼 빌 게이츠와 워런 버핏이 참여한 '더 기빙 플레지' 서약을 끌어낸 '빈곤 해방'(The life you can save, 21세기북스 펴냄) 10주년 개정판이 최근 한국어판 서문을 달고 국내 출간됐다.빈곤 해방피터 싱어 지음, 함규진 옮김21세기북스 펴냄, 2만2000원-미얀마 대지진 등 해외 재난 상황을 외면하는 것은 잘못인가.▷도울 능력이 있는데 돕지 않는다면 잘못이다. 재난이 뉴스 헤드라인을 장식할 때까지 기다렸다가 기부하기보다는 장기적인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단체에 일상적으로 기부하는 것이 좋다.-아프리카 기아 문제를 내 책임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1972년 '기근 풍요 도덕'에 대한 글을 처음 썼을 때 사람들이 세상의 빈곤에 대해 자신에게는 책임이 없다고 말하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래서 '물에 빠진 아이'라는 비유를 사용했다. 공원을 걷고 있는데 어린아이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식회사 하임원예건축 건축사사무소  |  대표자 김진국  | 사업자등록번호 377-88-00723  |  TEL 033-241-8683  |  FAX 033-241-9749  
ADD 강원도 춘천시 퇴계로93번길 4-8 이삭빌딩 503호
E-mail visionkjkj@naver.com  |   Copyrightsⓒ2019 (주)하임원예건축 All rights reserved.  |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