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올바이오파마] 중국 시장 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Lappy 작성일25-01-25 17:01 조회7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한올바이오파마, 중국시장조사 #하버바이오메드, #HL161, #상업화한올에 중국 협력사 하버바이오메드는 24.6/27일 바토클리맙에 대한 장기안정성 데이터를 포함 한 BLA를 다시 제출했다는 기사가 있었음중국에서 바토클리맙은 혁신 치료제로 지정된 바 있고, 우선 심사 대상으로 지정되어 곧 결과 발표가 예상 됨승인 결과은 어떻게 나올까? 그리고 승인이 된다면 시장성은 어느정도 일까?임상 3상 결과는 중국시장조사 1, 2차 지표를 모두 충족했고, 우려 했던 부작용도 장기 안정성 데이터를 통해 어느 정도 확인하고 승인 신청을 했을 것으로 보임. 장담할 수 는 없겠지만, 승인 확률은 매우 높을 것으로 예상승인 된다는 가정하에, 추가 마일스톤에 대한 수취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단계별 마일스톤 7천7백만불)상업화 판매에 따른 중국시장조사 별도 로열티 수입도 예상 됨하버바이오메드는 2022년 10월, CSPC 그룹 자회사인 NBP 파마와 바토클리맙의 중국 내 상업화 계약을 함. 중국내 판매 영업은 NBP 파마를 통해 하겠다는 뜻 CSPC 제약그룹은 신약 개발, 제조, 판매 전 과정에서 강점을 지니고 있으며, 중국 전역에 걸쳐 상업화 역량을 보유하고 있음. 중국시장조사 2022년 기준으로, CSPC 제약그룹은 약 5조 5,000억 원의 매출과 약 1조 3,000억 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으며, 홍콩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으며 시가총액은 약 17조 원 수준.승인 후 상업화도 잘 준비되고 있는 듯 보임그럼 중국 내 중증근무력증의 시장규모는 어느 정도 될까?2023년 기준 중국 내 중증근무력증 환자는 약 25만 중국시장조사 명으로 추정.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중국 중증근무력증 치료제 시장은 2030년까지 약 1조 2,677억 원(약 9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글로벌 중증근무력증 치료제 시장의 CAGR은 7.8%로 추정되며, 중국 시장도 이에 준하는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 대략 1조원 규모의 시장으로 보임중국 내 경쟁 상황은?자이랩(Zai Lab)의 비브가르트(Vyvgarth, 성분명: 중국시장조사 에프가티지모드 알파)가 2024년 7월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으로부터 품목허가를 받았음항 아세틸콜린 수용체(AChR) 항체 양성 전신성 중증근무력증(gMG) 환자를 대상으로, 기존 표준요법제와 병행하는 보조요법제로 승인되었고, 피하주사제(1,000mg/5.6mL) 임알젠엑스가 한 발 빠르지만 하버에 비해 그렇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고, 제형 측면에서도 밀리지 않음상업화 관점에서도 그리 밀리 듯이 보이지는 않음* 바토클리맙에 중국시장조사 상업화 시기가 다가왔음. 시장에서 어느 정도 모습을 보여줄 지 기대가 큼 [바이오타임즈] 한올바이오파마의 중국 파트너사 ‘하버바이오메드(Harbour BioMed)’가 27일(현지 시각) HBM9161(성분명: 바토클리맙)’의 중국 내 품목허가를 위한 신약 승인 신청서(BLA, Biologics License Ap...본 포스트에 포함된 정보와 의견은 투자 권유를 목적으로 하지 않으며, 오로지 개인적 공부와 정리 중국시장조사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습니다. 본 내용은 저자의 개인적인 의견과 불완전한 검색에 기반하고 있으며, 모든 투자 결정은 독자 본인의 책임하에 신중하게 이루어져야 합니다. 본 내용을 통해 발생하는 어떠한 손실이나 피해에 대해서도 저자 및 본 블로그는 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투자하기 전에 반드시 충분한 개인적 연구를 수행해야 합니다.
중국시장조사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