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지원
차별화된 온실을 건축하고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착한기업 주식회사 하임원예건축 건축사사무소입니다.
  >  고객지원  >  고객지원

기간은 7월 27일까지이며 서울 무료 전시로 누구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onion 작성일25-07-06 12:24 조회4회 댓글0건

본문

기간은 7월 27일까지이며 서울 무료 전시로 누구나 관람가능하다.일상 속 소비재, 특히 의류 라벨이라는 사소한 오브제를 통해 인간의 삶과 정체성을 묻는 작업이다. 라벨로 금붕어를 만들어놨다.주소 : 서울시 중구 통일로 1 문화역서울 284#서울전시#우리들의낙원#서울역#문화역서울284'도망친 곳에 낙원은 없다' 라는 말을 좋아한다. 이 말처럼 무슨 일이 생겼을 때 도망가봐야 그곳이 어떤 해답이 되지 않으니, 정면으로 돌파하고자 하는 편이다. 갑자기 왜 낙원 얘기를 했냐면, 이번에 다녀온 전시가 '우리들의 낙원'이기 때문.서울에 살아온 작가가 목격하고, 겪고, 감내해온 변화의 축적을 표현한 작업.같은 주제로 10년 후에 전시를 한다면 어떤 작품들이 나올지 궁금하다. 과연 나의 생각대로 휴머노이드와 인간을 다룬 작품이 나올까?서울역이 문화역서울 284로 탈바꿈한 지금, 100년의 시간을 품은 이 공간은 한 때 대합실이었고, 귀환의 플랫폼을 지나 관객의 상상력을 실은 하나의 여행지가 되었다. 참여한 21인의 작가가 선보이는 회화, 설치, 미디어 작업을 통해 그들이 해석한 다양한 낙원을 통해 나의 낙원은 어떤 모습일지 상상해보는 좋은 서울 전시였다.결혼, 취업, 연애 운을 부른다는 <희망 알약> 시리즈가 전시되어 있다. 플라시보일 수는 있지만 이런 약이 있다면 나의 낙원이 여기있지 않을까 싶기도 하다.깊은 밤, 모두가 잠든 시간에 홀로 깨어 있는 사람의 피로와 꿈, 그 조용한 순간이 작가의 손끝에서 하나의 움직이는 조각으로 탄생하였다. 실제로 이 작품은 일정한 리듬에 맞춰 안에 있는 추들이 움직인다.전시 기간 : 2025. 6. 13 - 2025. 7. 27크기가 크고, 미디어 아트의 디테일도 상당히 뛰어나다. 사운드까지 몰입감이 뛰어나며, 바닥까지도 작품이 전개된다. 당연히 미디어 아트 앞에 가서 사진도 찍을 수 있는데, 사람들이 멀리서 영상을 찍고 있기에 대놓고 인증샷을 찍기에는 부담스러운 상황이다.고전 회화와 현대 디지털 미디어, 회화적 정신성과 오브제의 물질성이 만나는 복합적 예술 세계를 보여준다고 한다.노숙인들의 종이박스 집 36채를 실제 돈을 주고 구매해 전시장에 설치하였다. 우리가 당연하게 여기는 '집'의 의미와 그 안에 담긴 소유, 가치, 존엄에 대한 근복적인 질문을 던진다.서울특별시 중구 통일로 1 문화역서울284서울 전시 서울역 문화역서울 284 10주년 전시 우리들의 낙원윤동천 작가의 <병치-그늘>Nikon Z9 / Z 24-70 F2.8S우리가 흔히 지나치기 쉬운 일상의 단면, 특히 고단한 노동의 풍경을 섬세하고 따뜻한 시선으로 포착한 작품이다. 작업은 작가가 야간 편의점 아르바이트를 하던 시절, 새벽 경비 초소에서 졸고 있던 경비원의 모습을 관찰한 데서 시작되었다.박경근 작가의 '폐허 위를 걷는 인간, 새로운 상상력의 탄생' <타이거 울프>전시의 첫 작품은 황세진 작가의 미디어 아트.〈금강내산 : '허(1)'와 '실(표)의 조화〉모델이 요즘 대세인 백현진님이었던 것이 나름의 킬링 포인트.시작부터 강렬한 임팩트를 보여주는 작품이었다. 아마 사람들이 생각하는 낙원이라는 이미지를 가장 잘 보여주는 그런 작품이 아니었을까 싶었다.작품 설명도 설명이지만, 그냥 눈으로 딱 봐도 직관적으로 상당한 노력이 들어간 작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하나하나 모양을 계산하고 만들어내다니 말이다. 사진으로는 작아보이지만 사람 키보다도 큰 대형 작품이기에 꼭 실물로 보기를 추천한다.작품은 정선의 30대 청년기와 70대 노년기를 병치하며, 사계절을 따라 흐르는 철학을 시각적으로 펼쳐낸다.윤정미 작가.안을 보면 프레임도 꽤 튼튼하게 만들어놌고, 바닥에도 박스를 꽤 많이 깔아두었다.폐허처럼 변한 도심 속을 무심히 걷는 한 남자의 모습을 통해 현대 문명 속 인간의 무기력함, 해체된 질서, 잃어버린 중심을 보여준다.영업시간 : [화-일] 11:00-19:00실제 박스를 구매했던 계약서까지도 전시를 해두었다.클로즈업해서 보면 라벨들이 반복적으로 사용되어 있다. '금붕어'가 가진 금방 까먹고, 장식물로 쓰이고, 물속의 갇힘이라는 속성의 아이러니를 기반으로 한다고 하였다.작가님이 아주 철두철미한 스타일인 듯.사진 글 사진찍는 마케터(@instant_curation)멋진 산수화가 걸려있길래 그냥 산수화인가보다 했는데,팩데믹 이후의 명동 거리를 배경으로 한 영상 작업이다.최수양 작가의 <플라스틱 아일랜드>서울역이 생긴지 100주년을 기념하여 진행된 문화역서울 284 '우리들의 낙원' 전시회. 낙원이라는 것은 개념은 존재하지만 실재는 하지 않는 것. 그래서 사람마다 각자 현실과 타협한 낙원의 정의를 갖고 있다. 21명의 작가가 정의한 낙원의 다양한 정의를 접하며, 나에게 낙원이란 무엇인지? 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이다.photographed by 사진찍는 마케터instagram @instant_curation'색으로 말하는, 사회가 만든 이야기' <핑크&블루 프로젝트>는 2005년부터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는 장기 연작. 색을 통해 젠더와 사회적 정체성의 문제를 시각화한 사진 작업이다. 핑크와 블루가 특정 성별을 상징하는 사회적 코드가 어떻게 형성되고 반복되는지에 주목한다.양정욱 작가 '고단한 일상 속 꿈의 움직임', <피곤은 언제나 꿈과 함께>.김지민 작가의 <골드 피쉬>이원호 작가의 '집이란 무엇인가 - 떠다니는 부동산의 역설' <부 부동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주식회사 하임원예건축 건축사사무소  |  대표자 김진국  | 사업자등록번호 377-88-00723  |  TEL 033-241-8683  |  FAX 033-241-9749  
ADD 강원도 춘천시 퇴계로93번길 4-8 이삭빌딩 503호
E-mail visionkjkj@naver.com  |   Copyrightsⓒ2019 (주)하임원예건축 All rights reserved.  |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