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에 너무 많은 자외선이 들어오면 수정체 단백질이 손상되면서 백내장이 빨리 생길 수 있고, 망막 중심에 있는 황반 부위도 자극을 받아 변성이 올 수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기온이 올라가면서 야회 활동이 크게 늘었다.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게 마련이다.이에 피부 보호를 위해 선크림을 바르는 이들은 많지만, '눈' 보호에는 여전히 소홀한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자외선은 피부뿐 아니라 눈 건강에도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전문가들은 눈 보호에도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고 조언한다.햇빛에는 ‘자외선(UV)’이라는 보이지 않는 빛이 섞여 있다. 자외선은 에너지가 강해 피부에 화상을 입히거나 노화를 촉진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런데 이 자외선이 눈 속까지 침투해 백내장이나 황반변성과 같은 심각한 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은 생각보다 많이 알려지지 않다.고려대구로병원 안과 최광언 교수는 “눈에 너무 많은 자외선이 들어오면 수정체 단백질이 손상되면서 백내장이 빨리 생길 수 있고, 망막 중심에 있는 황반 부위도 자극을 받아 변성이 올 수 있다”고 설명한다.백내장은 나이가 들면서 흔하게 생기는 질환이지만, 자외선 노출이 많으면 그 속도가 빨라질 수 있다. 세계보건기구(WHO)도 전 세계 백내장 환자의 약 20%가 자외선과 관련 있다는 보고를 낸 바 있다. 백내장이 생기면 눈이 점점 뿌옇게 흐려지고, 빛이 퍼져 보이거나 눈부심이 심해진다. 심하면 야간운전이 어려워지고, 두 개로 보이는 복시 현상도 생긴다. 한 번 생기면 자연스럽게 회복되진 않기 때문에, 일정 이상 진행되면 수술로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수정체를 넣어야 한다.황반변성은 망막 중심부인 ‘황반’이 손상되면서 시야의 중심이 흐려지거나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질환이다. 65세 이상 고령층 실명의 주요 원인이기도 하다. 이 질환도 자외선과 무관하지 않다. 자외선이 망막 세포에 산화 스트레스를 일으켜 손상을 가속화하기 때문이다. 최 교수는 “눈을 강한 햇빛에 오래 노출하면 황반변성이 생기거나 악화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황반변성은 초기에는 자각 증상이 거의 없어 설 연휴 마지막 날인 지난 1월 30일 대전 중구 은행동 성심당에 빵을 구입하려는 시민들이 줄을 서 있다. /신현종 기자 대전의 명물 빵집 ‘성심당’이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액을 기록했다. 매장이 10여 개에 불과한 지역 기반 빵집이지만, 뚜레쥬르 같은 대형 프랜차이즈 빵집보다 2년 연속 더 많은 이익을 냈다.5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성심당의 작년 매출액은 1937억6000만원으로, 전년(1243억원) 대비 56%나 늘어났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478억원을 기록하며 전년(315억원)보다 50% 증가했다.성심당의 실적은 최근 몇 년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다. 2020년 488억원이었던 매출액은 2021년 628억원, 2022년 817억원을 기록했다. 2023년에는 1243억원의 매출을 찍으며 프랜차이즈가 아닌 단일 빵집 브랜드 매출로는 최초로 1000억원 선을 넘었다.영업이익도 2022년 154억원에서 2023년 315억원으로 늘면서 뚜레쥬르를 운영하는 CJ푸드빌(214억원)을 처음으로 뛰어넘었다. 작년 CJ푸드빌의 영업이익은 298억6000만원으로, 성심당은 영업이익 격차를 더 키웠다. 작년 말 기준 성심당의 매장 수는 16곳, 뚜레쥬르는 1300여 곳이다. 무게 2.5㎏의 성심당 과일시루와 작년 여름 품절 대란으로 판매가 조기 종료됐던 망고시루. /성심당 1956년에 문을 연 성심당은 2012년 대전역에 분점을 내면서 ‘전국구 빵집’ 반열에 올라섰다. 대전을 방문한 외지인들이 ‘튀김소보로’ ‘판타롱부추빵’ 등 성심당 빵을 앞다퉈 사 갔다. 2014년에는 방한한 프란치스코 교황의 아침 식사에 성심당의 치아바타와 바게트 빵이 오르면서 다시 한번 주목받았다. 여기에 가성비를 내세운 ‘딸기시루’와 ‘망고시루’ 등 시즌 한정 케이크가 인기를 끌면서 새벽부터 길게 줄을 서는 오픈런 대란이 이어졌다. 20만~30만원에 달하는 호텔 크리스마스 케이크와 달리, 성심당은 그야말로 ‘쏟아부은 듯한’ 엄청난 양의 과일을 넣은 케이크를 5만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