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사우디 생산기지 구축에 맞춰 법인설립
페이지 정보
작성자 afurojoo 작성일25-06-11 04:01 조회20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현대차 사우디 생산기지 구축에 맞춰 법인설립현지서 완성차 부품 공급망 구축 주도할 듯스마트물류 등 신사업 교두보 역할도 기대 높아이 기사는 2025년06월10일 15시54분에 마켓인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이데일리 마켓in 이건엄 기자] 현대글로비스(086280)가 맏형 격인 현대차(005380)의 사우디아라비아 진출에 발맞춰 본격적인 현지 투자에 나선다. 현대차의 생산기지 구축에 맞춰 사우디 현지 법인을 설립해 물류망을 구축하는 한편, 스마트물류 등 중동 지역에서의 신규 사업 기회도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왼쪽부터 박원균 현대차 사우디아라비아 생산법인(HMMME) 상무와 아흐메드 알리 알수베이 HMMME 이사회 의장, 야지드 알후미에드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부총재, 반다르 이브라힘 알코라예프 산업광물자원부 장관,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 문병준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 대리,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 부사장이 지난 5월 14일(현지시간) 사우디에서 열린 현대차 공장 착공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차)10일 이데일리 취재를 종합하면 현대글로비스는 사우디에 중동지역 사업을 총괄할 법인 설립을 준비 중이다. 오는 9월 정식 출범을 목표로 법인 설립 절차는 대부분 마무리하고 최고재무책임자(CFO) 등 주요 임원과 직원 채용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현대글로비스는 사우디 법인에서 근무할 CFO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현대글로비스가 사우디에 법인을 세우는 가장 큰 이유는 사우디에 진출하는 현대자동차의 생산 거점에 맞춰 물류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다.현대차는 내년 4분기부터 사우디에서 연간 5만대 규모의 전기차 및 내연기관차를 생산하기 위해,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함께 합작법인 ‘HMMME’를 설립하고 현지 생산기지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우디 공장 지분은 현대차가 30%, PIF가 70% 보유하고 있다. 양측은 지난 2023년 사우디 공장 건설을 위해 5억 달러 이상을 공동 투자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이에 따라 현대글로비스는 해당 공장의 원활한 생산을 지원할 물류망 구축과 운영을 맡을 예정이다. 사우디가 연간 80만대 이상의 완성차가 판매되는 중동 최대 시장인 점을 고려하면 현대차 사우디 생산기지 구축에 맞춰 법인설립현지서 완성차 부품 공급망 구축 주도할 듯스마트물류 등 신사업 교두보 역할도 기대 높아이 기사는 2025년06월10일 15시54분에 마켓인 프리미엄 콘텐츠로 선공개 되었습니다.[이데일리 마켓in 이건엄 기자] 현대글로비스(086280)가 맏형 격인 현대차(005380)의 사우디아라비아 진출에 발맞춰 본격적인 현지 투자에 나선다. 현대차의 생산기지 구축에 맞춰 사우디 현지 법인을 설립해 물류망을 구축하는 한편, 스마트물류 등 중동 지역에서의 신규 사업 기회도 적극 모색할 계획이다.왼쪽부터 박원균 현대차 사우디아라비아 생산법인(HMMME) 상무와 아흐메드 알리 알수베이 HMMME 이사회 의장, 야지드 알후미에드 사우디아라비아 국부펀드 부총재, 반다르 이브라힘 알코라예프 산업광물자원부 장관, 장재훈 현대차그룹 부회장, 문병준 주사우디아라비아 대한민국 대사 대리, 이한우 현대건설 대표이사 부사장이 지난 5월 14일(현지시간) 사우디에서 열린 현대차 공장 착공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현대차)10일 이데일리 취재를 종합하면 현대글로비스는 사우디에 중동지역 사업을 총괄할 법인 설립을 준비 중이다. 오는 9월 정식 출범을 목표로 법인 설립 절차는 대부분 마무리하고 최고재무책임자(CFO) 등 주요 임원과 직원 채용을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실제 현대글로비스는 사우디 법인에서 근무할 CFO 채용 절차를 진행 중이다. 현대글로비스가 사우디에 법인을 세우는 가장 큰 이유는 사우디에 진출하는 현대자동차의 생산 거점에 맞춰 물류망을 구축하기 위해서다.현대차는 내년 4분기부터 사우디에서 연간 5만대 규모의 전기차 및 내연기관차를 생산하기 위해, 사우디 국부펀드(PIF)와 함께 합작법인 ‘HMMME’를 설립하고 현지 생산기지 구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사우디 공장 지분은 현대차가 30%, PIF가 70% 보유하고 있다. 양측은 지난 2023년 사우디 공장 건설을 위해 5억 달러 이상을 공동 투자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이에 따라 현대글로비스는 해당 공장의 원활한 생산을 지원할 물류망 구축과 운영을 맡을 예정이다. 사우디가 연간 80만대 이상의 완성차가 판매되는 중동 최대 시장인 점을 고려하면 현대글로비스의 외형확대에도 긍정적 요인이 될 전망이다. 현대차의 현지 생산에 맞춘 물류 지원 외에도, 현대글로비스의 사우디 진출에는 자체적인 사업 확장에 대한 기대감도 크다. 실제 현대글로비스는 사우디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