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건
“김건희씨 모친 최은순씨는 원래 양평 사람이니 여기 많이 돌아다녔을 텐데 감옥 갔다 온 뒤 두문불출한다는 얘기만 들었어요. 이 동네 사람들은 빨리 고속도로 개발이 됐으면 하죠.” 1일 경기 양평군 강상면 병산리에 있는 서울∼양평고속도로 대안 종점의 모습. 김건희씨일가가 소유한 산(오른쪽) 바로 옆으로 중부내륙고속도로가 지나고 있다. 변세현 기자 세계일보가 1일 찾은 경기 양평군 강상면 일대 김건희씨 일가 땅엔 들풀이 무릎 높이로 자라 있었다. 오랜 시간 발길이 닿지 않은 것 같은 이 부지엔 고속도로 터널이 들어설 뻔했다. 하지만 이 개발 계획안이 김씨 일가에게 유리한 방식대로 변경됐다는 의혹이 불거지면서 개발은 2년 넘게 멈춰 있다. 사건의 발단은 국토교통부가 2023년 서울∼양평고속도로 종점을 당초 양서면에서 이곳 강상면으로 옮긴 데서 시작됐다. 원안은 2021년 예비타당성 조사까지 통과한 상태였다. 특히 강상면 종점에서 약 500m 떨어진 곳에 김씨 일가 소유 땅이 확인됐고, 논란이 일자 당시 원희룡 국토부 장관이 사업 백지화를 선언했다. 기자가 찾은 부지에 터널이 뚫리지 못한 채 풀만 웃자라게 된 까닭이다. 논란이 이어진 이 지역은 최근 민중기 특별검사팀(김건희 특검)이 출범하면서 또다시 주목받고 있다. 특검팀 수사 대상에는 양평고속도로 특혜 의혹이 포함됐기 때문이다. 이 일대 주민들 사이에서도 불평 섞인 목소리가 터져 나오고 있었다. 양평 소재 한 부동산에서 만난 A(55)씨는 “2년 전쯤에 최씨가 부동산사무실에 두 번 정도 사업상 방문했었다”며 “최근에는 한 번도 못 봤다”고 말했다. 그는 “(강상면 인근 땅은) 최씨 입장에서 어차피 못 쓰는 땅”이라며 “팔리지도 않을 테니 (토지) 수용으로 보상금을 받으려고 한 것 같다”고 조심스럽게 전했다.고속도로 개발을 바라던 인근 마을 주민들은 기약 없는 기다림에 답답함을 호소했다.10대(代) 넘게 양평에서 살았다는 이모(67)씨는 특혜 의혹을 묻자 “양평 사람들은 (종점이) 병산리인 걸 원하는데 매스컴과 정치인들이 광주시향 광주시립교향악단이 2025년 상반기 시즌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하반기 공연 프로그램과 출연진을 공개했다. 지난 1월 제14대 예술감독으로 취임한 이병욱 지휘자와 함께 새로운 출발을 알린 광주시향은 정기연주회, 기획연주회, 찾아가는 공연 등 다채로운 무대로 관객과의 만남을 이어간다.광주시향은 이병욱 예술감독을 맞이하며 더욱 폭넓은 레퍼토리로 관객과 음악가의 신뢰를 쌓고 있다. 이 감독은 취임 당시 “시민들에게 감동과 영감을 주는 음악을 선사하고, 광주시향이 국내외에서 사랑받는 교향악단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병욱 예술감독 그의 지휘 아래 광주시향은 한층 성숙한 연주력과 해석으로 호평을 얻었으며, 특히 4월 예술의전당 교향악축제 무대와 5·18 민주화운동 기념음악회에서 깊은 울림을 전하며 주목을 받았다. 올해 하반기 정기연주회는 다채로운 감성과 주제를 담은 다섯 무대로 구성된다. 먼저 7월25일에는 바이올리니스트 이수빈과 함께 색채감 있는 선율을 전하는 ‘Brilliant Colours’ 공연을 선사한다. 9월12일에는 세계양궁선수권대회를 기념해 바이올리니스트 윤소영이 협연하는 ‘The Echo of Peace’가 무대에 오른다.10월17일에는 성악가들이 대거 출연해 오페라 갈라 콘서트 ‘Fall in love with Opera’를 선보이며, 11월14일에는 피아니스트 김규연과 함께하는 ‘혁명가들’로 광주시향 400회 정기연주회의 의미를 더한다. 연말에는 정한결 지휘, 피아니스트 일리야 라쉬코프스키의 협연으로 겨울의 서정을 담은 ‘Winter Rhapsody’가 예정돼 있다.대표 기획연주회 ‘오티움 콘서트’는 올해 ‘악기’를 주제로 각 악기의 개성과 매력을 조명한다. 하반기에는 ▲오티움 콘서트Ⅲ ‘Flute’(8월22일 지휘 김영언, 플루트 이예린) ▲
“김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