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하루 앞둔 3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인근과 안국역 앞이 경찰 차벽 등으로 통제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사진)이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선고 하루 전인 3일에도 결과에 승복하겠다는 뜻을 밝히지 않았다. 자신이 일으킨 12·3 비상계엄 사태로 한국 사회의 극단적 갈등과 분열이 우려되는 상황 속에서도 침묵을 지켰다. 탄핵소추된 뒤에도 반성과 사과, 통합 대신 강성 지지층 호소에 집중해온 그간 행보의 연장선으로 풀이된다.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까지 4일 헌재 선고기일에서 나올 결정에 승복하겠다는 대외 메시지를 내놓지 않았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앞서 어떤 결정이 나오든 승복하겠다고 밝혔지만, 윤 대통령과 일부 친윤석열계 의원들은 침묵으로 일관하며 파면 시 불복할 가능성을 남겼다.여권 관계자는 기자와 통화하면서 “이미 때가 늦은 것 같다”며 “상황이 이렇게 된 이상 대통령이 승복하겠다고 하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굴복하는 모양새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여당이 승복 선언을 요구하자 이 대표가 “승복은 윤석열이 하는 것”이라고 말한 것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된다.윤 대통령의 침묵을 두고 헌재 선고 후 시민 간 분열과 갈등, 물리적 충돌이 확산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은 KBS 라디오에서 윤 대통령의 승복 메시지가 “꼭 필요하다”면서 “그렇게 한다면 지지자들이 승복하고, 유혈 사태까지는 가지 않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침묵은 윤 대통령이 비상계엄 사태 이후 실행해온 여론전의 연장으로 보인다. 앞서 윤 대통령은 체포와 구속, 탄핵심판 과정에서 강성 지지층에게 “국민과 함께 끝까지 싸우겠다”고 호소해왔다. 12·3 비상계엄 사태에 대한 반성과 사과는 하지 않고 계엄 선포 원인은 야당으로 돌리고 ‘계몽령’을 주장했다. 윤 대통령 측은 체포영장 집행을 피해 서울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 머물 당시 관저 밖 지지층에게 “경찰을 막아달라”는 메시지를 발신하기도 했다. 윤 대통령 측미국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다음 날인 3일(현지시간) 장 초반 4% 안팎 폭락세다. 월가 예상을 넘어선 높은 관세율에 투매 물량이 쏟아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 방아쇠를 당기며 미 경기가 침체에 빠지고, 글로벌 무역 전쟁이 전면전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 또한 커졌다. AFP연합뉴스 이날 뉴욕 주식 시장에서 오전 10시29분 현재 블루칩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다우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480.78포인트(3.51%) 하락한 4만744.54를 기록 중이다. 대형주 중심의 S&P500지수는 220.26포인트(3.88%) 급락한 5450.71에 거래돼, 이날 2022년 9월 이후 일간 최대 낙폭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849.83포인트(4.83%) 폭락한 1만6751.22에 거래되고 있다.종목별로는 소비재로 분류되는 나이키가 13% 가까이 급락세다. 중국에서 가장 많은 아이폰을 생산하는 애플은 7.8% 폭락 중이다. 할인 소매업체로 주로 수입품을 판매하는 파이브 빌로우는 27.5%, 달러트리는 9.7% 빠지고 있고, 의류업체 갭은 21% 폭락세다. 위험 회피 선호 현상으로 기술주도 폭락하면서 엔비디아와 미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각각 5.1%, 5.5% 내리고 있다.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전 세계 모든 교역국을 상대로 최소 10% 이상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모든 국가에 10%의 기본관세를 부과한 뒤, 각국의 관세·비관세 장벽을 두루 살펴 무역장벽이 높다고 판단되는 이른바 '최악 국가(worst offender)'에는 '10%+α'의 관세를 부과한다. 로이터연합뉴스 한국은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 중 가장 높은 25%의 관세율을 받아들었다. 집권 1기 시작된 무역 전쟁 상대방인 중국에는 34%, 트럼프 대통령이 그동안 관세와 관련해 불만을 거듭 표현해 온 유럽연합(EU)에는 20%의 관세가 적용된다. 10% 기본관세는 오는 5일, '+α'의 개별 관세는 오는 9일 각각 발효된다.트럼프 대통령은 관세폭격 하루 뒤인 이날 자신이 만든 사회관계망서비스(SNS) 트루스소셜에 "수술이 끝났다"며 "환자는 살아남았고 치유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예후는 이전 그 어느 때보다 환자가 훨씬 더 강해지고, 커지고, 나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