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장은 '송언석 관리형 비대위' 체제…'혁신형 전대' 거론김문수·나경원·안철수 등 후보군…한동훈 출마 여부 주목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채해병 특검 표결에 참여하지 않은 것에 대해 사과하고 당론제도에 대한 근본적 성찰이 필요하다며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2025.6.29/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서울=뉴스1) 한상희 손승환 기자 = 대통령 선거가 끝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았지만, 국민의힘의 관심은 빠르게 전당대회 준비로 옮겨가고 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임기 종료와 함께 8월 전대를 겨냥한 당권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혁신위원회 구성이나 대선 패배에 대한 평가 등 쇄신 작업은 새 지도체제 출범 이후로 넘어가는 분위기다.29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당은 7월 1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새 비상대책위원회 구성과 비대위원장 임명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이 오는 30일 임기를 마치면, 송언석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임하는 체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송언석 겸임 체제 유력…혁신위도 곧 출범할 듯새 비대위는 8월 중순으로 예상되는 전당대회까지 당무를 관리하고, 전대 일정과 룰을 조율하는 관리형 성격을 갖게 된다. 송 원내대표는 초·재선·중진 등 선수별로 한 명씩 비대위원을 임명해 지도부를 꾸릴 계획이다.비대위 출범 이후 혁신위원회 구성도 검토하고 있다. 위원장 후보로는 한동훈계로 분류되는 김성원 의원과 계파색이 옅은 이헌승 의원 등이 자천타천으로 거론된다. 다만 혁신위 참여를 제안받은 다수 의원들이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에선 전당대회가 임박한 만큼, 체질 개선 작업은 새 지도부 출범 이후 본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김 위원장이 제안했던 '탄핵 당론 무효화' 등 5대 개혁안은 비대위 종료와 함께 후속 논의가 차기 체제로 넘어가게 됐다. 지난 26일과 27일 열린 의원총회에서도 대여 전략만 다뤄졌을 뿐, 개혁안 논의는 빠졌다. 김 위원장은 임기 종료 전날인 29일 기자회견에서 순직 해병대원 외압 의혹과 관련해 "비대위원장으로서 당론에 따라 표결에 참여한 데 대해 유가족과 국민께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당론은 권력자에 종속되지 않고 당원 주권, 유권자 지향, 국회의원 자율성이라는 3 원칙이 존중되도록 제도화돼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대선 당시당장은 '송언석 관리형 비대위' 체제…'혁신형 전대' 거론김문수·나경원·안철수 등 후보군…한동훈 출마 여부 주목김용태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29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채해병 특검 표결에 참여하지 않은 것에 대해 사과하고 당론제도에 대한 근본적 성찰이 필요하다며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2025.6.29/뉴스1 ⓒ News1 안은나 기자(서울=뉴스1) 한상희 손승환 기자 = 대통령 선거가 끝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았지만, 국민의힘의 관심은 빠르게 전당대회 준비로 옮겨가고 있다.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임기 종료와 함께 8월 전대를 겨냥한 당권 경쟁이 본격화하면서, 혁신위원회 구성이나 대선 패배에 대한 평가 등 쇄신 작업은 새 지도체제 출범 이후로 넘어가는 분위기다.29일 국민의힘에 따르면 당은 7월 1일 전국위원회를 열어 새 비상대책위원회 구성과 비대위원장 임명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김 위원장이 오는 30일 임기를 마치면, 송언석 원내대표가 비대위원장을 겸임하는 체제가 될 가능성이 높다.송언석 겸임 체제 유력…혁신위도 곧 출범할 듯새 비대위는 8월 중순으로 예상되는 전당대회까지 당무를 관리하고, 전대 일정과 룰을 조율하는 관리형 성격을 갖게 된다. 송 원내대표는 초·재선·중진 등 선수별로 한 명씩 비대위원을 임명해 지도부를 꾸릴 계획이다.비대위 출범 이후 혁신위원회 구성도 검토하고 있다. 위원장 후보로는 한동훈계로 분류되는 김성원 의원과 계파색이 옅은 이헌승 의원 등이 자천타천으로 거론된다. 다만 혁신위 참여를 제안받은 다수 의원들이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에선 전당대회가 임박한 만큼, 체질 개선 작업은 새 지도부 출범 이후 본격화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김 위원장이 제안했던 '탄핵 당론 무효화' 등 5대 개혁안은 비대위 종료와 함께 후속 논의가 차기 체제로 넘어가게 됐다. 지난 26일과 27일 열린 의원총회에서도 대여 전략만 다뤄졌을 뿐, 개혁안 논의는 빠졌다. 김 위원장은 임기 종료 전날인 29일 기자회견에서 순직 해병대원 외압 의혹과 관련해 "비대위원장으로서 당론에 따라 표결에 참여한 데 대해 유가족과 국민께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당론은 권력자에 종속되지 않고 당원 주권, 유권자 지향, 국회의원 자율성이라는 3 원칙이 존중되도록 제도화돼야 한다"고 강조하기도 했다.대선 당시 김문수·한덕수 후보 단일화 파동을 조사 중인 당무감사도 마무리 수순에 접어들었다. 당무감사위는 지난 27일 무소속인 한덕수 후보에게 예산을 지원했다는 의혹은 사실이 아니라고 판단했지만, 후보 교체 결정 당시 회의록은 확인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당시 지도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