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치영어학
페이지 정보
작성자 Isadora 작성일25-01-29 20:46 조회1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안녕하세요! 대치영어학 오늘은 Complement, Adjunct의 구분과 관련된 영어학 기출문제를 풀어보도록 할게요! 루이스에서는 2006년 서울 21~22번, 2008년 전국 15번, 2009년 32번, 2010년 36번, 2016년 B형 6번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루이스 5판에는 나와있지 않지만 아주 최근에 2022년 A형 7번으로도 출제가 되었죠! 자주 출제가 되고 있으니 잘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중에서 2006년 서울 21번, 2009년 32번, 2022년 A형 7번 이렇게 세 문제만 정리해보려고 합니다!2006년 서울 21번 ~ 22번우선 첫번째 문제는 2006년 서울 21번~ 22번 문제입니다. 문제에서 원하는 것은 지문의 빈칸을 채우고, 주어진 문장에서 modifier와 modifier의 head를 대치영어학 구분하는 것입니다. 우선 지문을 보도록 할게요.지문에서는 a teacher of children from America라는 중의적인 구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from America]가 teacher를 수식하는 adjunct인 경우 (1a+b)엔, ‘아이들의 선생님인데 미국출신인 선생님’으로 해석이 되구요. 반대로, [from America]가 children을 수식하는 complement인 경우(2)엔 ‘’미국 출신의 아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 이라는 의미가 됩니다. 계속해서 지문을 읽도록 할게요.그런데 만약에, 의도한 의미가 (1)이라면 위와 같이 예문 (3)은 비문이 됩니다. Complement는 항상 Adjunct보다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빈칸 (A)는 Complement, (B)는 adjunct가 됩니다.이번엔 22번의 지문을 보도록 할게요.보시는 것처럼 제시된 문장은 [on the stool]이라는 대치영어학 modifier 때문에 중의성을 띠고 있습니다. 만약 [on the stool]이 book을 수식한다면, 학생은 스툴위에 올려져 있던 책을 읽었다는 의미가 됩니다. 반대로 [on the stool]이 read를 수식한다면, 학생은 스툴 위에 앉아서 책을 읽었다는 의미가 됩니다. 따라서 (1)의 답은 on the stool, (2)의 답은 read와 book이 됩니다. 답을 쓸 때 주의하실 것은 [on the stool]은 Phrase Level이 아닌 bar-level의 성분 혹은, head를 수식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답에서 the modified ‘heads’를 쓰라고 요구하는 것에서 분명히 나타납니다. 따라서 답을 쓸 때도 the book이 아닌 그냥 book으로 쓰셔야 합니다.문제는 대치영어학 그렇게 어렵진 않았지만, Modifier가 무엇을 정확히 수식하는지를 분명히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라 포스팅해보았습니다! 기출년도2006년 21번 ~ 22번문제형식Fill in the blanks and Identify대주제Syntax - Complement, Adjunct키워드Modifier도움이 될만한 책더 공부할 수 있는 것2022년 A형 7번보시는 것처럼 긴 지문 ;부터 보도록 할게요.우선 지문에서는 같은 종류의 Modifier만 Coordination 될 수 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즉, Complement는 Complement끼리, Adjunct는 Adjunct 끼리만 Coordination 될 수 있는 것이지요. 예문 (1)에서 NP와 CP가 Coordination된 것이 인상적입니다. 둘이 어떻게 Coordination 될 수 있는지 한참 고민했는데 아직 잘 모르겠어요. 일단은 이게 중요한 대치영어학 게 아니니 그러려니 하고 넘어가려고요. 두번째 문단 보도록 할게요. 두번째 문단에 따르면, Adjunct에 의해 수식을 받는 Noun만이 one으로 대치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는 one이 N이 아닌 N’를 대치하기 때문입니다! 이미 기출에서 여러 번 강조된 부분이에요. 세번째 문단 볼게요.세번째 문단에 따르면, dependents of noun (Modifier를 여기선 이렇게 표현했네요!)는 N 앞에 올 수 있고, 이 경우 중의성이 발생할 수 있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Korean Professor는 한국어를 가르치는 교수 (Korean이 Complement인 경우), 혹은 한국인 교수 (Korean이 Adjunct인 경우)로 해석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를 풀려면 이 대치영어학 부분을 유심히 봐두어야 할 것 같네요. 이번엔 본격적으로 지문 B를 보겠습니다.(i) The man who entered the room was the linguistics and Korean professor.우선 예문 (i)부터 볼게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i)의 Korean은 language가 됩니다. 앞서 지문 A에서 같은 종류의 Modifier끼리만 coordinate 될 수 있다고 나온 것 기억하시나요? 여기서 Linguistics는 과목이고, Complement니 같이 coordinate된 Korean 또한 과목이고 Complement여야 합니다. 따라서 Korean은 Language로만 해석이 가능합니다. 이번엔 예문 (ii)를 볼게요.(ii) Mina is not the Japanese professor but the Korean one.예문 (ii)는 one-replacement가 나타난 문장이네요! 여기서 One은 professor를 대치영어학 대치하고 있습니다. 지문에서는 Adjunct의 수식을 받는 명사만이 One으로 대치 될 수 있다고 했으므로, 여기서 Korean은 Adjunct고 Nationality가 됩니다. 그래서 전 아래와 같이 답을 썼어요!Korean in (i) is a language. Korean in (i) is coordinated with ‘linguistics’ which is a complement, so Korean in (i) is also a complement and interpreted as a language. On the other hand, Korean in (ii) is a nationality. Only a noun modified by an adjunct can be replaced by one, so Korean in (ii) is an adjunct 대치영어학 and interpreted as a nationality.기출년도2022년 A형 7번문제형식Identify and Explain대주제Syntax-Adjunct and Complement키워드Complement, One-replacement도움이 될만한 책Syntax (p.205) 출제 원전더 공부할 수 있는 것그렇게 어렵진 않았는데 아무래도 시험 볼 때엔 두번째 문단을 아는 것이라 생각하고 대충 훑어서 틀린 듯 해요. 게다가 both라는 선지까지 줘서 더 헷갈렸던 것 같습니다. +이 문제의 출제 원전이 Carnie의 Syntax였네요! p.205의 Challenge Problem Set 3번 문제에서 예문 (ii)와 비슷한 문장이 나옵니다. 궁금하신 분들은 풀어보셔도 좋을 것 같아요!오늘 포스팅은 여기까지입니다. 포스팅이 도움이 되었다면 공감버튼 눌러주시고, 궁금한 점이 있거나 틀린 부분을 발견하셨다면 아래에 대치영어학 댓글 남겨주세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